엘리어트 파동이론 – (2) 기본 용어 정리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론에 쓰이는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어떤 기준으로 파동을 분류하는지에 따라 파동을 다양하게 부르기 때문에 미리 정리해두지 않으면 공부하면서 헷갈리므로 정리를 한번 하고 가자.
여기서는 각 용어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만 살펴보고 자세한 내용은 후속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엘리어트 파동이론 – 용어 정리>

파동(wave)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토대가 되는 개념으로, 방향성을 지닌 움직임의 패턴을 의미한다.

규모(degree)

파동은 프랙탈(fractal) 구조와 유사하게, 자기 유사성이 있다. 그래서 자신보다 더 큰 파동의 일부이기도 하면서, 자기 자체는 자신을 구성하는 더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규모이다.

아래 그림의 파동에서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 순으로 규모가 작아진다.
파란색 파동은 빨간색 파동의 세 번째 파동을 더 세부적인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파동은 자신보다 더 큰 파동의 일부라는 말의 의미)
검은색 파동은 파란색 파동을, 해당 파동(=파란색 파동)을 구성하는 더 작은 파동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자기 자체는 자신을 구성하는 더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다는 말의 의미)

프랙탈 겹침 2
프렉탈 구조(겹침)
프랙탈 분리 2
프렉탈 구조(펼침)

5파

5개의 (작은 규모의) 파동으로 이루어진 (큰 규모의) 파동을 의미한다.
5파 패턴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세 가지 규칙(rule)이 있다. (단순히 파동이 다섯 개라고 5파 패턴이 아니다.)

  1. 파동2가 파동1의 시작점을 넘지 않는다.
  2. 파동3은 가장 짧은 파동이 아니다.
  3. 파동4는 파동1의 종결점을 넘지 않는다.
    • 3번 규칙의 예외) 아래 그림의 우측과 같은 형태를 가진 대각 삼각형은 4파가 1파의 종결점을 넘는 경우가 많음.
5파 패턴 impulse
5파 패턴 예시 1
5파 패턴 diagonal
5파 패턴 예시 2(규칙 3의 예외)

참고) 규칙(rule)은 파동이 반드시 만족해야만 하는 조건이고 지침(guideline)은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파동이 대체로 이러한 조건을 따르더라 하는 내용이다.

3파

3개의 (작은 규모의) 파동으로 이루어진 (큰 규모의) 파동을 의미한다.

abc
3파 패턴 예시

주기

완전한 주기는 5파에 이은 3파로 이루어진다.
완전한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주가를 형성한다.
이때, 3파는 조정의 성격이므로 5파를 완전히 되돌리지 못한다.
제일 큰 규모(degree)에서 보았을 때, (사실일지는 모르겠으나…) 인류는 무한히 발전하므로 주가는 우상향한다.
파동을 카운팅 할때, 5파는 숫자로(1, 2, 3, 4, 5) 표기하며, 3파는 문자로(A, B, C) 표기한다.

주기
완전한 주기

파동의 종류 (구조적 전개 양상에 따른 파동의 구분)

파동은 기본적으로 구조적 전개 양상에 따라 동인 파동과 조정 파동으로 나뉜다.

1.동인 파동(motive wave)

    • 정의: 5파 패턴 (동인 파동과 5파 패턴은 동의어이다.)
      • 동인 파동은 항상 자신보다 규모가 하나 더 큰 파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 동인 파동의 형태 – 동인 파동이 가질 수 있는 형태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가 있다.
1-1.충격 파동(impulse wave)
          • 충격파는 5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5-3-5-3-5(=5파-3파-5파-3파-5파)의 형태를 갖는다.
          • 5파 패턴의 규칙을 만족해야 한다.
          • 주의. 5파와 충격파는 동의어가 아니다. (충격파는 5파의 한 종류이다)
1-2.대각 삼각형 혹은 쐐기형(diagonal or wedge)
          • 대각 삼각형은 5파로 이루어지며, 다시 종결 쐐기형과 선도 쐐기형으로 나뉜다.
          • 대각 삼각형 파동은 주요 추세의 방향을 따르는 5파 구조의 파동 중에서 유일하게 4파가 거의 언제나 1파의 범위로 들어간다.
            (5파 패턴 규칙3의 예외에 해당)
1-2-1. 종결 쐐기형(ending diagonal)

종결 쐐기형은 5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3-3-3-3-3의 형태를 갖는다.
패턴의 끝 부분에서 나오기 때문에 ‘종결’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1-2-2. 선도 쐐기형(leading diagonal)

선도 쐐기형은 5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5-3-5-3-5의 형태를 갖는다.
패턴의 앞 부분에서 나오기 때문에 ‘선도’라는 단어가 붙는다.

2.조정 파동(corrective wave)

    • 정의: 3파 패턴 혹은 3파의 변형 패턴  
      • 조정 파동은 기본적으로 자신보다 규모가 하나 더 큰 파동과 반대 방향으로 나아간다.
      • 다만, 조정 파동임에도 자신보다 규모가 하나 더 큰 파동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다섯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작용성 조정 파동)
      • 조정 파동의 형태 – 조정 파동이 가질 수 있는 형태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가 있다.
2-1.지그재그형(zigzag)

지그재그형은 3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5-3-5의 형태를 갖는다.
최대 3번까지 연속으로 나타날 수 있다.

2-2.플랫형(flat)

플랫형은 3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3-3-5의 형태를 갖는다.
플랫형은 다시 정상(regular), 확장(expanded), 유동(running)형으로 나뉜다.

2-3.(수평)삼각형(horizontal triangle)

(수평)삼각형은 5파로 이루어지며 각 파동은 세부적으로 3-3-3-3-3의 형태를 갖는다.
하위 5파로 구성되지만, 조정파동에 속한다. (5파 패턴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5파 패턴의 규칙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표기는 1-2-3-4-5가 아닌, A-B-C-D-E로 표기한다.

(수평)삼각형은 다시, 수렴형(contracting)과 확장형(expanding)으로 나뉜다.

2-3-1.수렴형

수렴형은 다시 대칭형(symmetrical), 상승형(ascending), 하강형(descending), 유동형(running)으로 나뉜다.

2-3-1-1. 대칭형(symmetrical)

고점은 낮아지고, 저점은 높아지면서 수렴하는 형태

2-3-1-2. 상승형(ascending)

고점은 일정하고 저점은 높아지면서 수렴하는 형태

2-3-1-3. 하강형(descending)

고점은 낮아지고 저점은 일정하면서 수렴하는 형태

2-3-1-4. 유동형(running)

수렴형 삼각형의 파동B가 파동A의 시작점을 넘는 경우를 의미한다.

수평삼각형
(수평)삼각형 수렴형
유동 삼각형 1
(수평)삼각형 유동형
2-3-2.확장형

확장형은 저점은 낮아지고 고점은 높아지는 형태로, 단일한 형태이다. (수렴형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나뉘지 않는다.)

2-4.혼합형(combination) – 이중 또는 삼중 3파(double or triple threes)
        • 이중 또는 삼중 3파는 3파가 여러 번 반복되는 형태이다. 
        • 단어의 의미만 놓고 보면 지그재그형이 이중, 삼중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이중, 삼중 3파이지만, 엘리어트는 3파의 이중 혹은 삼중 조합으로 횡보 조정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중 혹은 삼중 3파라고 불렀다. (지그재그형이 이중 혹은 삼중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그냥 이중 혹은 삼중 지그재그형이라고 부른다)
        • 지그재그형, 플랫형, (수평)삼각형의 임의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단, (수평)삼각형은 마지막 패턴으로만 나타난다.)
        • 3파의 조합은 3파를 통해 연결된다.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 박스로 표시된 3파첫 번째 3파(왼쪽 빨간 박스)인 지그재그형과 두 번째 3파(오른쪽 빨간 박스)인 플랫형을 연결하고 있다.)
        • 조합되는 3파를 이중 3파일 때는 각각 순서대로 W,Y로 표기하며 삼중 3파일 때는 각각 순서대로 W,Y,Z로 표기한다. 연결하는 3파는 X로 표기한다. (아래 좌측 빨간색 박스가 W, 가운데 파란 네모가 X, 우측 빨간색 박스가 Y)
이중 3파 1
이중 3파 예시 (지그재그형-3파-플랫형)

3.참고

동인 모드, 조정 모드라는 표현이 있는데, 동인 모드는 파동이 5파로 형성되는 것을, 조정 모드는 파동이 3파 혹은 그 변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파동이 동인 모드로 형성되면 동인 파동이고, 조정 모드로 형성되면 조정 파동이다.
 

기능에 따른 파동의 구분

1.작용 파동(actionary wave)

    • 정의: 자신을 포함하는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추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파동
    • 주의: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추세는 상승일 수도 하락일 수도 있다. 절대적 방향이 아닌 상대적 방향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작용 파동은 동인 모드로 형성되지만(=5파로 형성되지만), 일부는 조정 모드로 형성된다(=3파 혹은 그 변형으로 형성된다).
조정 모드로 형성되는 작용파를 ‘작용성 조정 파동’이라고 부른다.

작용 파동의 예시)
        • 5파의 1,3,5파
        • 3파의 A,C,(E)파
        • 이중(삼중) 3파인 W-X-Y-(X-Z)의 W,Y,(Z)
작용성 조정 파동의 예시)
        • 종결쐐기형(ending diagonal) 파동에 속한 파동 1,3,5 (3-3-3-3-3)
        • 플랫형 조정 파동에 속한 파동 A (3-3-5)
        • 삼각형 파동에 속한 파동 A,C,E (3-3-3-3-3)
        • 이중 지그재그형과 이중 3파에 속한 파동 W,Y (3(W)-3-3(Y))
        • 삼중 지그재그형과 삼중 3파에 속한 파동 W,Y,Z (3(W)-3-3(Y)-3-3(Z))

사실, 작용성 조정 파동이라는 파동은 완전한 주기의 파동 자체, 즉 단순한 5파+3파를 분석할 때 보이는 패턴이 아니라, 5파와 3파를 다시 한 단계 낮은 규모로 분석할 때 보이는 패턴이다. (작용과 반작용의 개념에 ‘자신을 포함하는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추세와의 상대적 방향성’이라는 개념이 들어가므로 당연하다.)

2.반작용 파동(reactionary wave)

    • 정의: 자신을 포함하는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추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파동
    • 주의: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추세는 상승일 수도 하락일 수도 있다. 절대적 방향이 아닌 상대적 방향이 중요하다.

반작용 파동은 예외 없이 조정 모드로 형성된다(=3파 혹은 그 변형으로 형성된다).

반작용 파동의 예시)
        • 5파의 2, 4파
        • 3파의 B,(D)파
        • 이중(삼중) 3파인 W-X-Y-(X-Z)의 X

3. 참고

‘동인/조정 파동’과 ‘작용/반작용 파동’이 약간 헷갈릴 수 있는데, 두 개념은 각각 별개의 개념이다.
어떤 파동을 파동의 형태에 따라 동인/조정 파동으로 분류 할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을 포함하는 한 단계 큰 규모의 추세와의 상대적인 방향에 따라 작용/반작용 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래 목적에 따른 구분과 표기에 따른 구분은 잘 쓰이지 않으나 개념으로 소개는 되어 있어 첨부한다.

목적에 따른 파동의 구분

1.진전 파동(progressive)

더 큰 규모의 조정 파동에 속하지 않는 모든 상향 동인 파동. 1, 3, 5로 표기됨

2.퇴보 파동(regressive)

더 큰 규모의 양상에 관계없이 모든 하락 파동

3.진퇴 파동(proregressive)

더 큰 규모의 조정 파동에 속하는 상승 파동

표기에 따른 파동의 구분

1.기본 파동(cardinal)

숫자로 표기되는 파동

2.공명 파동(consonant)=부차 파동(subcardinal)

문자로 표기되는 파동

다음글: 엘리어트 파동이론 – (3) 일반론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