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어트 파동이론 – (6) 작용 파동과 반작용 파동

  •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파동을 기능의 측면에서 작용 파동(actionary or trend wave)과 반작용 파동(reactionary or countertrend wave)으로 나눈다.
  • 해당 파동이 속한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파동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여부에 따라 작용 파동과 반작용 파동을 나눈다.
  • 한 단계 더 큰 추세는 상승일 수도 하락일 수도 있다.
  • 오를 때는 작용이고 내릴 때는 반작용인 것이 아니라, 더 큰 추세와의 상대적 방향이 중요하다.

1. 작용 파동

  • 그것이 속한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파동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파동을 의미한다.
  • 작용 파동은 1, 3, 5, A, C, E, W, Y, Z로 표기된다.
  • 대부분의 작용 파동은 동인 모드로 형성되지만(=5파로 나누어지지만) 소수의 작용 파동은 조정 모드로 형성되기도 한다(=3파 혹은 그 변형으로 나누어진다).
    • 조정 모드로 형성되는 작용 파동(=작용성 조정 파동)은 다음과 같다.
       
      • 파란색 점선이 큰 규모의 파동의 방향이고 검은색 실선이 큰 규모의 파동을 구성하는 하위 파동을 나타낸 것이다.
      •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은 작용성 조정 파동을 표시한 것이다.
      • 큰 규모의 파동이 상승 추세 일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현하였으며 하락 추세는 그림을 뒤집어 생각하면 된다.
    • 종결쐐기형 파동에 속한 파동 1,3,5 (3-3-3-3-3)
    • 작용성 조정파동 예시
    • 플랫형 조정파동에 속한 파동 A (3-3-5)
    • 작용성 조정파동2 1
    • 삼각형 파동에 속한 파동 A,C,E (3-3-3-3-3)
    • 작용성 조정파동3 1
    • 이중 지그재그형과 이중 3파에 속한 파동 W,Y (3(W)-3-3(Y))
    • 작용성 조정파동4 1
    • 삼중 지그재그형과 삼중 3파에 속한 파동 Z (3(W)-3-3(Y)-3-3(Z))
      (이중 지그재그형 하나 더 이어 붙인 것과 같으므로 이미지 생략)

2. 반작용 파동

  • 그것이 속한 한 단계 더 큰 규모의 파동과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파동을 의미한다.
  • 반작용 파동은 2, 4, B, D, X로 표기된다.
  • 모든 반작용 파동은 조정 모드로 생성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