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어트 파동이론 – (6) 작용 파동과 반작용 파동
1. 작용 파동 2. 반작용 파동
Elliott Wave Theory 정리
1. 작용 파동 2. 반작용 파동
1. 조정 파동의 정의 2. 조정 파동의 특성 3. 조정 파동의 구성 4. 조정의 과정 조정 과정은 급각조정(sharp correction)과 횡보조정(sideways correction)으로 나뉨(횡보와 급각은 조정이 얼마나 깊은지가 아니라, B파가 조정이 시작된 지점으로 얼마나 돌아왔는지를 기준으로 나뉨.) 4-1.급각조정 4-2.횡보조정 5. 조정 파동의 패턴 조정 패턴은 지그재그형, 플랫형, (수평)삼각형, 혼합형으로 나뉜다. 5-1. 지그재그형(zigzag) 5-2. 플랫형(flat) 5-2-1. 정상 플랫형(regular … Read more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 구조적 전개 양상을 기준으로 파동을 나누면 동인 파동과 조정 파동으로 나뉜다.이번 글에서는 동인 파동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1.동인 파동 1-1. 동인 파동의 정의 동인 파동은 5파 그 자체이다. (동인 파동과 5파는 동의어이다.) 1-2. 동인 파동의 특성 동인 파동은 자신보다 규모가 하나 더 큰 파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 작용파이다.) 2.규칙(rule) 2-1. 5파 패턴의 … Read more
<서론> 나는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시중에서 ‘회색책‘이라고 부르는 책으로 공부했다. 이 책은 엘리어트가 직접 쓴 책이 아니라, 해당 책의 저자들이 엘리어트의 연구에 본인들이 연구한 내용을 더해 출간한 책이다. 다만, 책을 읽다 보니 내용이 주제별로 모여있지 않고 책 여기저기에 퍼져 있어 보기에 불편했다. 그래서 나는 해당 내용을 다시 주제별로 묶어 작성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앞선 글에서 용어를 … Read more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론에 쓰이는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특히, 어떤 기준으로 파동을 분류하는지에 따라 파동을 다양하게 부르기 때문에 미리 정리해두지 않으면 공부하면서 헷갈리므로 정리를 한번 하고 가자.여기서는 각 용어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만 살펴보고 자세한 내용은 후속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엘리어트 파동이론 – 용어 정리> 파동(wave)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토대가 되는 개념으로, 방향성을 지닌 움직임의 … Read more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기원>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1930년대, 미국인 회계사인 Ralph Nelson Elliott가 창시한 이론으로, 주가(주식 가격, 株價)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우주는 특정한 법칙을 따른다> 엘리어트는 그의 책 Nature’s Law: The secret of the universe에서 우주가 특정한 법칙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이 법칙을 따른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법칙은 확립되어 있으며 불변하기 … Read more